형산강은 경북도 포항·경주와 울산광역시를 거처, 동해로 흐르는 강이다. 강줄기는 65.5km이다. 유역면적은 1,167㎢이다. 안강읍에 이르러 남류하는 기계천과 합친 다음에 북동쪽으로 유로를 바꾸어, 동해 영일만으로 흘러든다. 형산강의 줄기를 보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저명한 공단이 즐비하다. 즐비함과 비례하여, 형산강은 오염으로 가고 있는 게 아닌가한다. 이젠 오염의 정도가 강의 역할은커녕, 되레 도저히 강줄기를 따른, 사람의 삶터가 아닌 지경까지 왔다. 2016년도 국립환경과학원의 형산강 퇴적물 조사결과에 따르면, 포항 형산강 퇴적물 수은 기준치가 최대 3천 배에 달했다.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을 적용하면, 가장 많이 초과한 중금속은 수은이다. 형산강 6개 지점에서 기준치(0.07㎎/㎏)보다 적게는 19배(송동2교), 많게는 3천171배(구무천 유입지점)나 됐다. 구무천 유입 지점에선 구리·납·니켈·비소·아연·카드뮴·크롬은 기준치로 볼 때에 평균 3등급을 초과했다. 4등급으로 나온 카드뮴은 기준치(0.4㎎/㎏)의 20배가 넘는 8.01㎎/㎏(±0.24)이다. 이 정도라면, 강이 아니고, ‘발암물질의 저장소’이다. 이렇게 되기까지 형산강 주변 공단 오염물질이 기능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지 않는가한다. 포항시가 오염물질 저장소인 형산강 정화대책에 대한 방안을 찾기로 했다. 포항시가 주최하고 (사)한국물환경학회가 주관, 환경부와 경북도가 후원하는 ‘형산강 생태복원 수은전문가 국제포럼’이 지난 6일 포스코 국제관 국제회의장에서 국‧내외 수은 전문가와 시민환경단체, 관련기관, 일반시민 등 약 300여 명이 참석했다. 먼저 시민단체가 본 수은 오염문제와 수은 위해성에 대해 설명했다. 포항시는 현재까지의 추진현황과 생태복원대책을 제시했다. 다음엔 국제전문가 포럼에서는 미국의 Danny Reible 교수가 「하천 수은오염 퇴적물 관리방안」을 주제로 준설보다는 원위치 안정화 처리가 더 경제적이고 과학적,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Akito Matsuyama 박사는 형산강의 수은오염과 미나마타와는 오염정도와 발생시점, 미나마타병 발생 원인에서 차이가 난다. 오염토양에 대해 안정화공법을 적용한다면, 앞으로 구무천의 토양정화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준설정화를 포함한 제반사항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또한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마련과 수은함유 폐기물의 종류, 관리방안, 발생량, 적정 관리 방안 등을 제시했다. 끝으로 앞선 발제내용을 토대로 한 종합토론에서 김영 고려대 교수는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포항시의회, 해양환경관리공단, 서울대학교, 대구대학교 전문교수가 참여해, 형산강 환경관리의 전문성 제고와 생태복원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앞으로 준설정화에 수백억의 비용이 소요된다고 예상된다. 국가와 지방정부가 함께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형산강과 구무천의 오염은 퇴적토의 준설과 토양 정화방법 외에 원위치 안정화 공법을 추가로 검토해 생태복원이 이뤄져야 한다. 예산의 확보와 정밀조사 이전에 중금속의 안정화를 위해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 흡착력이 우수한 제제를 살포해, 안정화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접근을 보았다. 원인자 추적조사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전제했다. 중금속 동위원소분석 등 모든 과학적 방법을 동원해 국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참석자의 중론 이었다. 그러나 다수일 가능성이 높은 원인자 찾기가 어렵다는 전제는 잘못된 발상이다. 준설정화 비용도 원인자가 부담해야한다. 오염 원인자를 그냥 두고, 국가와 지방정부가 정화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세금이다. 세금 부담은 예산 거덜 내기와 다름이 없다. 오염 원인자를 그냥 둔다면, 형산강의 정화 이후에도, 지금의 정화는 말짱 헛것에 불과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