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Drone)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다.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무인기이다. 드론은 애초 군사용으로 만들었다. 이제는 고공영상·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농약 살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세계 무인기시장의 점유율은 2014년 기준 미국 54%, 유럽 15%, 아태 13%, 중동 12%등이다. 미국과 유럽이 79%를 차지, 과점체제를 형성한다. 한국에서도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안보문제로 드론산업화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모호하다. 서울 도심은 대부분 비행금지나 비행제한구역이다. 하지만 이동성이 강화되면서 상업적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1인 1드론 시대’가 도래한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일본은 2013년까지 2,500여대의 농업용 드론을 판매해, 전체 논의 40%에 대한 살충제와 비료 살포에 활용했다. 호주에서는 100여대의 농업용 드론을 수입해, 제초용으로 이용한다. 국내에서도 농협이 농약살포, 작물 씨뿌리기, 살림보호 등을 위해 150여대의 드론을 보유하고 있다. 드론은 향후엔 무한시장으로 봐야한다. 우리 정부는 무인기 등의 개발에 2021년까지 총 545억 원을 투입한다. 당초 계획보다 지원 기간을 2년 늘리고, 사업비를 145억 원 증액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드론 쇼 코리아 콘퍼런스 정책발표에서 드론이 향후 3년간 2천억 원대 공공수요가 발생한다. 국토교통부는 공공수요가 향후 5년간 3천대로 예측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 사업단장은 공공기관이 드론 운용체계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구매로 연결되는 시기가 크게 앞당겨질 것이다. 민수시장이 커지기 전까지 공공수요확충에 더 많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위 같은 전망치에 따르면, 드론은 세계로 열린 시장이다. 누가 선점하는가에 따라, 일자리와 자본을 자기의 것으로 만든다. 이 같은 드론 시장에 안동시가 뛰어들었다. ‘안동시 드론산업 환경조사 및 추진방안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지난 17일 시청에서 개최했다. 안동시는 타 지자체에 비해 드론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풍부한 지리적·문화적 여건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전략적 접근을 위해 지난 2월 (사)한국드론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환경조사 및 타당성 조사 등 연구 용역을 시행했다. 용역 수행기관인 한국드론협회의 주 연구내용은 드론산업 기술동향 및 발전 추세, 한국 드론산업 활용사례, 중앙부처의 드론정책 및 로드맵, 안동시 드론산업 육성에 따른 지리·역사·문화적 환경, 제한사항 및 관련법 검토, 드론산업 환경 등이다. 향후 미래 드론산업을 이끌어 나갈 접근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드론산업은 재난대응, 산림재해, 항공방제, 레저 스포츠, 물자수송, 지적재조사, 문화재 관리, 관광DB 구축 등 다방면으로 활동영역이 넓다. 실생활의 적재적소에 보급될 것으로 기대되는 신산업으로 정부(국토교통부)에서도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했다. 7대 신성장 산업으로 분류해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안동시의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해선, 우선 정부의 방침부터 살펴야한다. 정부의 투자에도 행정력을 가져야한다. 또한 정부와 세계적인 드론 시장에도, 산술적인 예측에도 정확해야한다. 드론산업은 한 지자체가 추진하기엔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드론과 관련된 법 등은 국회의 몫이다. 서울의 경우처럼 하늘이 비행 금지구역이라면, 경북도 전체에서 안동시의 하늘은 어떤가부터 톺아보는 것이 순서이다. 정부가 ‘향후 3년간 2천억 원대 공공수요’, ‘2021년까지 총 545억 원을 투입’에서 안동시는 이와 같은 것에 발걸음을 맞춰야한다. 안동시의 드론산업의 원만한 사업의 추진을 위해선, 정부와 함께할 안동시만의 ‘드론 T/F팀’을 구성하여, 용역결과에서부터 착실히 준비할 것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