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는 미래지향형으로, 기후위기의 시대다. 동해바다엔 예전엔 살던 고기가 지금은 없다. 산불이 났다하면, 점처럼 꺼질 줄을 모른다. 비가 왔다하면, 어느 지역엔 폭우가 쏟아진다. 눈도 마찬가지다. 이젠 기후위기서 ‘기후재난’의 시대가 벌써부터 우리의 일상을 지배한다. 바다든 하늘이든 기후재난에 흔들린다. 우리가 공업화로 자본을 창출한 것이, 그 창출의 대가로 자연의 보복이 시작됐다.
이제부터라도 도시 숲을 조성하는 일이다. 도시엔 그나마 있던, 가로수는 해마다 가지치기를 하는 바람에 흡사히 도로에 말뚝을 박아 놓은 것과 같다. 2023년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의 생물 다양성과 도시 그늘 증진을 위한 ‘도시 내 녹지관리 개선방안’에 따르면, 그간 도시 녹지관리는 나무 몸통만 남기는 지나친 가지치기, 외래종 등 생태·환경적인 관리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관리 분야 유형에 따라, 담당 주체가 달라져, 상호 정책 연계성도 부족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문가, 시민사회, 관계기관 의견수렴 등을 거쳐, ‘도시 내 녹지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개선 방안은 도시 내에서 생물 다양성과 도시 그늘 증진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관련 정책·사업에 대원칙을 적용했다. 다양한 수목이 식재되도록 식물종 선정 시엔 ‘10-20-30원칙’을 적용한다. 동일 종 10% 이하, 동일 속 20% 이하, 같은 과 30% 이하를 심는다.
다른 대원칙은 ‘도시나무 그늘’이 확대되도록 도시 녹지량을 ‘3-30-300’ 규칙으로 관리한다. 도시 면적의 30%이상이며, 최단 공공 녹지공간은 300m 이내에 위치한다. 나무심기에 말만 그럴 듯하다. 나무는 말만으로는 안 된다.
2018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기온을 기준하면, 수원시 11개 지역의 계절별 기간을 계산한 결과, 봄은 72일, 여름 134일, 가을 52일, 겨울은 107일로 각각 나타났다. 나무가 많을수록 공업화 이전으로 되돌아간다는 말이다. 기후재난이 덜해진다는 뜻이다.
포항시에 따르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도시’를 실현한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 숲 확대를 조성한다. 걷고 싶은 도시로 탈바꿈한다. 포항시는 포항-경주 관문 일대에 2만 5,300㎡ 규모 대단위 기후 대응 도시 숲을 조성한다. 시민에게 지난해 11월부터 임시 개방해, 모니터링 중이다. 올해 상반기 중 완전 개방한다.
이곳은 연일읍 유강리 7번 국도와 동해 남부선 철도 사이 ‘유강정수장 제2수원지에서 유강 건널목’까지 약 1km구간이다. 지난 20년 이상 미집행 도시계획 시설(완충 녹지)로 남아, 무단 경작, 불법 건축물 및 저습지 등으로 포항시 경계 일대 경관을 크게 저해했던 지역이었다.
포항시는 지난 2023년부터 해당 부지 일대 경관을 개선했다. 7번 국도변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도시 숲 조성 세부 계획을 세웠다. 이후 철도 유휴부지 활용 공모사업으로 국가철도공단으로부터 철도부지(4,538㎡)를 무상으로 사용 승인을 받았다. 국·공유지(14,200㎡) 사용에 대해 관련 부서 협의 등을 거쳐, 사업 대상지를 마련했다.
이 지역은 미세먼지 저감, 도시열섬 및 폭염 완화, 탄소흡수 등의 기능을 갖춘 기후 대응 도시 숲으로 조성됐다. 2만 5,300㎡구역 1km구간 내에는 메타세콰이어 숲길과 이팝나무 외 63종 2만 4,000여 그루의 계절별 다양한 수목을 심었다. 맨발 숲길 2km, 운동 시설 및 셸터(Shelter)등의 편의시설 등을 갖췄다.
평생학습원 도시 숲 외 4개소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30년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승인받아, 연간 88톤, 30년간 2,640톤의 탄소 배출권 거래가 가능하다. 도시 숲은 미세먼지 저감 등 기능적인 측면부터 경제적 효과까지도 창출한다. 신강수 푸른도시사업단장은 생활 밀착형 도시 숲 등 다양한 도시 숲을 확대 조성한다.
원래 포항시는 ‘바다경제 도시’였다. 하지만 이젠 철강도시가 됨에 따라, 그 어느 도시보다 도시 숲이 꼭 필요한 도시가 됐다. 포항시는 철강과 함께, ‘도시 숲 도시’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