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산림사관학교, 산림복지 확대한다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5.02.23 07:12 수정 2025.02.23 07:12

우리나라는 급격한 공업화에 비례적으로 산림의 훼손됐다. 지금도 아파트를 새로 짓고, 공장을 유치하고, 또 산업단지를 만든다고, 도심의 이런 곳에선 나무가 없는 곳에서 살고 있다. 도시의 가로수는 지나치게 가지치기를 하는 바람에 둥치만 있어, 흡사히 말뚝을 보는 것과 같다.

2024년 4월 산림청에 따르면, 경북은 산림면적이 3,395ha가 감소했다. 경기 5,228ha 다음으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산림면적 감소는 각종 난개발과 도로 건설 등으로 5년 사이 여의도 면적의 87배에 달하는 산림이 사라진 것과 같은 비율이다. 지난 2005년 6,393,949ha, 2006년 6,389,393ha, 2010년 6,368,843ha로 5년 사이 25,106ha나 줄었다. 같은 기간 산림 면적이 감소한 이유는 도로 7,347ha(여의도 면적의 25배), 공장 3,881ha(여의도 면적의 13배) 등으로 개발에 따른 것이었다.

20세기 말 한국 산림면적은 약 644만ha이었다. 국토의 약 65%를 차지했다. 나무가 자라는 산림 면적의 97%인 626만 3,518ha이었다. 침엽수림 43%, 활엽수림 26%, 혼효림 29%였다. 경북도의 산은 우리나라 전체 산림(630만㏊)의 약 21%에 달하는 134만㏊이었다. 2025년 1월 9일 본지 보도에 따르면, 경북 임가 소득은 3,700만 원으로 농가소득의 74%수준에 머물렀다. 목재 자급률은 18.6%로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국산 목재 이용이 저조한 실정이었다.

나무가 많다는 것은 현재의 공업화 시각에선, ‘산림복지’로 봐야한다. ‘산림복지’는 산림을 국민복리 증진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정책적 개념이다. 산림을 기반으로 산림 문화·휴양, 산림치유, 교육 등의 서비스를 창출·제공한다. 경제적·사회적·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활동이다. 산림은 인간의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숲 태교, 유아 숲 체험, 산악레포츠, 산림치유 등 다양한 혜택을 우리에게 준다. 2015년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산림 복지서비스 제공의 공공주체인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설립(2016.04.18)됐다. 나무들이 뿜어내는 향기(피톤치드)를 직접 마시거나, 피부에 접촉시키고,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심신의 단련과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지난 18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청 회의실에서 산림 분야 대학교수, 기관·단체 등이 참석해, 2025년도 경북산림사관학교 교육계획 확정을 위한 운영협의회를 개최했다. 2025년도는 교육 집중도와 산림에서 실무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둔다. 지난해 5개 과정(청년 임업인 스타트 업, 산림소득향상, 산림경영심화, 산림치유휴양활용, 산림청년을 잡아라)을 업그레이드(Upgrade) 재편했다. 임산물을 가공해, 제품화한다. 산림소득 수종 재배관리 분야 2개 전문 과정을 신설한다.

수요자 맞춤형 교육을 위한 실습·견학 비율을 상향·조정한다. 교육 기간 3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한다. 핵심 인재 선발을 위한 면접 평가를 도입한다. 수료생 학습 조직(5개소) 신규로 지원한다. 추진 일정은 3월 중 모집 공고한다. 창업·소득 향상·취업 분야 7개 과정에서 약 180명 교육생을 모집한다. 4월~9월까지 산림인재 양성을 위한 본격 교육 과정에 들어간다. 학습조직 지원은 4월 중 별도로 모집 공고해, 15명 정도로 구성된 학습조직을 선발·운영한다.

대학생·고교생을 포함한 청년, 임업인, 귀산촌인 장기 교육 과정인 ‘경북산림사관학교’를 지난 2023년부터 운영했다. 2024년도엔 모집 단계부터 평균 1.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5개 과정 133명 수료생 설문조사 결과, 교육 만족도 5점 중 4.6점으로 높은 평점을 받았다. ‘산림치유·휴양 활용 과정’은 임업인이 숲을 경영해, 산림복지 서비스를 임업경영에 접목한다.

조현애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경북산림사관학교 교육생이 임산업 육성을 위한 새로운 흐름을 만든다. 지금은 복지구현의 시대다. 산림도 마찬가지다. 경북도는 ‘경북산림사관학교’서 경북 도민의 ‘복지를 구현’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