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리스크가 주목받고, 국내 경기 회복세도 주춤하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로 금융 안정에 무게를 뒀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31일 기준금리를 연 1.25%로 14개월째 동결한다고 밝혔다. 역대 최저 금리 수준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시장의 예상에 부합한 결정이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6∼21일 74개 기관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99%가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로 전망했다. 관심은 7인의 금통위원 중 금리 인상을 주장한 소수 의견이 나오는지 아닌지다.이달 들어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주목받으면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외국인들이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를 이어가고, 환율도 북한 리스크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한국의 CDS 프리미엄 가격도 최근 급등했다.미국 뉴욕증시에서 거래되고 있는 한국의 5년 만기 CDS 프리미엄 가격은 30일(현지시간) 62bp(1bp=0.01%포인트)로 마감했다. 한국의 CDS는 북한이 괌 포위 사격 도발 영향으로 지난 14일 70bp까지 오르기도 했다.이주열 총재가 지난 6월 창립기념식 당시 금리 인상 전제로 내건 '국내 경기 회복세'도 생각만큼 탄력받지 못하고 있다. 7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산업생산이 4개월 만에 증가했지만, 앞날을 낙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중국의 사드 보복·미국의 FTA 재협상 등 교역여건 악화 가능성도 있다.한은은 국회 현안보고에서 정부의 추경 집행 등을 고려해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2%대 후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2.8%로 올려잡으며 "추경 집행 후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했지만, 3%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새 정부 들어 상승세를 이어가던 소비자 심리지수도 8월 들어 북한 리스크와 고강도 8·2 부동산 대책 등 영향으로 7개월 만에 하락했다.1400조원에 가까운 가계부채도 소비와 성장을 짓누르고 있다. 가계부채의 증가속도나 총량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자칫 채무 상환 부담이 커지는 등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다. 정부의 9월 가계부채 종합 대책을 기다려보기로 했다. 미국이나 영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도 예상보다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4~26일(현지시간) 열린 잭슨홀 미팅에서 재닛 옐런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과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긴축 시점 등을 언급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침묵'으로 일관했다.이 총재는 국회에 출석해 "미국의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은 작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