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수십미터의 깊은 곳에 설치된 지하철 등 환경적으로 취약한 지하이용 공간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신기술 개발이 추진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18~2024년 총 1158억원(국고 1011억원, 민자 147억원)을 투자하는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 기술개발사업’이 지난 11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17일 밝혔다. 예비타당성조사는 국가재정법에 따라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비 300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사업에 대해 비용·편익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사업의 타당성이 인정돼야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사업은 △지하철 등 지하공간 △상부에 도로 등 시설물이 있어 정화가 곤란한 부지 △오염물질 누출시 환경영향이 큰 유독물 저장시설 등으로 인한 땅속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기술개발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우선 미세한 암반 틈새 등을 통해 지하 수십미터에 설치된 지하철 등 지하 이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류나 1급 발암물질인 라돈 등 오염물질의 이동과 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감시 및 예측기술을 개발한다. 또 지하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 피해 방지를 위한 인체 위해성 평가 및 관리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오염감지 성능이 우수한 측정센서를 장착한 고성능 측정장비를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과 연계해 신속한 경보가 가능한 ‘상시 누출감시 시스템’ 기술을 개발해 그 대상시설도 확대할 계획이다.이밖에도 △지중에서 직접 정화하는 기술 △오염지하수 이동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 △지하수 중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오염부지에 미생물을 활용한 정화기술 등 굴착 또는 양수를 하지 않고도 고효율·저비용으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현장기술을 개발하고 고도화할 방침이다. 김지연 환경부 토양지하수과장은 “땅속 오염의 사전예방에서부터 정화·검증·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선진적인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며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지중 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