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의 가장 큰 걱정은 ‘치매’다. 암처럼 생사를 가르는 질병은 아니지만 본인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겪는 고통이 크기 때문에 ‘사회적 질병’으로 일컬어진다. 가족을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도 두렵지만 가족이 겪을 부담이 더 큰 걱정이다. 아직 완치제도 없어 조기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령화 급진전으로 치매 환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문제가 더 심각하다. 11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2010년 8.7%, 2014년 9.6%에서 2050년 15.1%까지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노인 7명 중 1명 이상이 치매환자가 되는 셈이다. 2050년 추산 노인인구 1799만1000명 중 270만명 이상이 치매환자라는 얘기다. 경제 손실도 크다. 국회 예산정책처 전망을 보면 2015년 치매환자 1인당 관리비용은 2033만원이었지만 2050년에는 3929만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관리비용에는 보험급여와 비보험 본인부담금을 포함해 간병비, 교통비 그리고 조기퇴직에 따른 생산성 손실비용 등이 모두 포함된다.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은 무려 70여가지에 이른다. 치매환자 10명 중 7명가량은 서서히 판단력과 언어능력이 감퇴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다. ‘혈관성 치매’나 비교적 젊은 나이에 생길 수 있는 ‘전측두엽 퇴행’ 치매 환자도 늘고 있는 추세다. 치매는 대체로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뇌신경세포가 파괴되면서 인지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가장 좋은 치료법은 뇌신경세포를 살리는 것이지만 완치제는 현재 없다. 그나마 대부분의 의약품들이 아세틸콜린 분해를 막아 현상 유지를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치매 발병을 막기 위해 조기진단을 하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이다. 최근 각 대학에서 치매 조기진단 기술을 개발했고, 넥스모스와 아스타, 서린바이오 등 유수의 바이오벤처들도 진단시약 혹은 기기개발을 진행중이거나 완료했다. 이미 치매에 걸린 상태를 진단하기보다, 치매전단계(경도인지장애)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핵심이다. 정부도 치매 조기검진을 위해 두 팔을 걷어올리고 있다. 현재 60세 이상은 전국 보건소와 지자체의 치매센터에서 무료로 치매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상이 발생하면 정밀검사를 실시하는데 소득수준에 따라 무료 혹은 50%를 부담한다.정부는 최근 ‘치매 국가책임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올해 치매관련 예산 약 2000억원을 추경에 반영하기로 했다. 현재 47개소인 치매안심센터를 전국 252개소로 확대하는 데 1418억원, 치매안심병원을 확충하는 데 60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문재인 대통령은 앞으로 치매와 관련한 본인 건강보험 부담률 10% 이내로 감소하고 비싼 비급여 치매진단에 건보적용,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 등을 골자로 하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