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국은 우리에겐 ‘잊혀 진 황금의 제국’이다. 관련학계조차도 가야사에 대한 개념조차도 확실하지 못한 형편이다. 이 같은 가야제국에 대해, 지난달 6월1일 문재인 대통령이 고대 가야사 복원을 국정과제에 포함할 것을 지시함에 따라 잊힌 제국인, 가야국의 연구·복원에 지자체와 역사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기원 전후에 생겨나, 한반도 남부에서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광범하게 연맹을 이뤘던 나라이다. 562년 대가야가 신라에 항복하면서 소멸했다. 가야사는 낙동강 유역을 따라가면서 건국된 제국이라면, 이의 역사와 복원에도 인접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해야한다. 또한 권역별로 낙동강 유역에 따른 지자체가 역사와 복원과 관련된 예산이나 전문 인력을 분담하는 쪽이 더욱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실은 반대로만 가고 있다. 경남도와 경남발전연구원이 가야사연구 교수 초청강연회를 가졌다. 경남 김해시 대성동 도심구릉 옛 금관가야의 초대형 대성동 고분군은 발굴 작업이 상당부분 진행된 상태다. 김해시는 고분이 최초로 발굴된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4년 동안 발굴 및 문화재 복원사업을 계속했다. 전체 면적 5만6,762㎡에 퍼진 대성동 고분군은 옛 금관가야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무덤이 몰려 있다. 김해시는 고분군을 폭넓게 알리기 위해 일본 여행사와 손잡고, ‘가야사 관광 상품’을 내놨다. 가야사 2단계 조성사업과 가야 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가야권 유물·유적 발굴조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경남 합천군은 내년부터 5년간 220억 원을 투입해 옥전 고분군, 삼가 고분군 등 가야유적 발굴조사와 복원정비계획을 마련했다. 삼가·옥전 고군분과 성산토성 등 가야문화유적을 정비한다. 함안군은 아라가야의 본향임을 자처하며, 말이산 고분군 발굴·정비에 나섰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도 추진 중이다. 창녕군은 교동·송현동 고분군과 계성·영산 고분군 유적 정비활동을 벌인다. 가야고분군 세계문화유산 등재 목록에 창녕의 고군분도 추가한다는 방침이다. 전남 순천시, 광양시, 구례군, 전북 남원시, 장수군 등도 가야 문화권에 포함돼 있는 지자체다. 이렇게 본다면 영호남 17개 시·군이 가야사의 연구·복원에 나서야할 판이다. 이처럼 지자체들의 지나친 경쟁이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감을 지울 수가 없다. 본지의 보도에 따르면, 고령군은 ‘가야사 연구·복원 사업 국정 과제화’지시사항과 관련하여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추진단 TF팀을 구성했다. 지난 5일 우륵실에서 문화유산추진단을 중심으로 관련부서 직원 등 12명이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후기 가야의 중심지인 대가야 도읍지 개발 계획수립과 복원정비를 위해 시책사업을 발굴한다. 학술적 기반확충, 민간협의체 조직 등 본격적인 업무를 추진할 것을 논의했다. 이날 TF팀 실무진 회의에서는 가야사 연구 복원사업의 운영현황 및 계획을 검토했다. 향후 시책사업 보완 및 추가 발굴, 정책자문위원 위촉 등 가야사 연구복원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소흥영 부군수는 이번 회의는 새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가야사 연구와 관련된 운영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계획에 대한 로드맵을 짜기 위한 첫 자리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TF팀 운영으로 가야문화를 재정립한다. 지역이 함께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옛 가야국의 인접한 지자체마다, 그 무슨 실적을 내놓는 것과 같이, 가야국의 역사와 발굴에 경쟁을 벌이는 인상이다. 위 같은 경쟁은 바람지하지 못하다. 가야사 인근의 지자체는 공동의 TF팀을 구성해야한다. 관련된 예산은 국비를 확보해야한다. 가야사 연구·복원은 이 방면의 연구자들에게 맡겨야한다. 또한 지자체는 가야사의 연구·복원에서, 간섭하지 말고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한발 뒤로 물러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