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해양 도시이다. 이렇다면, 바다를 활용하기에 따라 포항의 경제가 좌우된다. 또한 바다에 관련된 기술을 포항시가 개발한다면,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는 기술의 융·복합의 클러스터의 중심지가 된다.수심이 깊은 곳에선 바다산업의 경제가치의 필요성에 따라 그 무엇인가를 설치하려면, 인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내려 가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이때는 수중로봇의 역할이 요구된다. 이 같은 요구는 많았으나, 경우에 따라선 해외 기술을 사용함에 따라 로봇 임대료가 나감으로써 지역의 경제의 효과가 반감되기도 했다.이 같은 문제풀기에서, 환동해 중심도시인 포항에서 2013년 9월부터 813억 원을 투입하여, 추진한 ‘수중건설로봇 기술개발사업’이 그 결실을 맺었다. 해양수산부와 경북도, 포항시는 영일만3산업단지 내에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의 ‘수중로봇 복합실증센터’를 완공했다. 지난 16일 개소식을 가졌다.개소식에는 해양수산부장관을 대신해 김양수 해양정책실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연영진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장, 홍기훈 KIOST원장, 김기홍 KIRO원장 등 관·산·학·연 주요인사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수중로봇 복합실증센터는 대형수조동과 연구지원동 등 2개동(연면적 4,400㎡)이다. 전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3차원수조(L35m, W20m, D9.6m), 회류수조(L20m, W5m, D6.2m, 최대 유속 3.4knots)의 복합형 수조 규모이다. 관측실과 로봇정비실, 수조운용실, 입주기업실, 사무실, 회의실 등 연구실과 기업지원실 위주로 구성됐다.이번 준공된 수중건설로봇 복합실증센터를 기반으로 대형프로젝트 사업이 완료되면, 영일만항 및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해양산업과 융·복합으로 그간 인력으로 시공되거나 해외의 고가 장비를 임대했던 국내·외 수중공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본다. 우리 기술로 개발한 수중건설 로봇을 현장에 보급하면 해양플랜트, 해상 풍력발전소 등 해양 신산업 부문의 구조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연간 400억 원의 해외 임대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수중건설로봇 기술개발사업은 목표수심 500m~2,500m 내외의 해양구조물 건설을 위한 수중로봇의 핵심장비이다.국산화와 세계 해양플랜트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했다. 수중 2.5㎞까지 내려가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작업용 로봇은 수중환경조사, 간단한 구조물시공,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한다.중작업용 로봇은 수중 2.5㎞까지 내려가 해저케이블 및 파이프 매설, 케이블커팅, 매설된 케이블 탐지 등의 작업을 한다.트랙기반 해저 중작업용 로봇은 수중 500m에서 암반 되 메우기, 토공, 고르기 작업, 해저케이블 매설 등의 작업이 가능하며, 현재 개발 중이다. 수중건설로봇 사업단은 이들 ROV(Remotely Operated Vehicle) 로봇 3종류에 대해 집중 시험·연구하고 있다. 수중건설로봇 제작 기업인 이너스페이스원정(주)이 이달 중 3산업단지 내에 부지를 매입하고, 하반기 중 건물 착공에 들어간다. 이너스페이스원정(주)은 심해 해양광물채집 로봇을 제작하는 등 정부과제를 추진한다.관련 특허도 출원했다. 2018년부터는 트랙기반 시제품생산과 수중로봇을 생산할 계획이다. 영일만3산단 로봇기업 집적화로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내 로봇산업의 전진기기로 만들어 미래 신성장산업을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포항시 수중로봇 복합실증센터의 개소로써, 우리의 기대는 포항시가 바다 경제에선 한반도의 허리의 역할로써, 경제까지의 발전에서 황금허리의 역할을 충실히 담당해야한다.포항시는 바다도시 중에 성장잠재력이 큰 지역이다. 이 같은 장점을 바다행정으로써 성취할 때부터,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중심지로 거듭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