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문화/건강

고령 지산동 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확실

김명수 기자 입력 2023.05.11 14:56 수정 2023.05.11 17:05

ICOMOS,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권고
9월 사우디서 개최 세계유산위서 등재 확정

↑↑ 고령 지산동 고분군<경북도 제공>

↑↑ 고령 지산동 고분군<고령군 제공>

경북도는 고령 지산동고분군이 포함된 '가야고분군' 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가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유네스코(UNESCO)가 지난 10일 ‘가야고분군’에 대한 유네스코 자문·심사 기구인 이코모스(ICOMOS,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심사 결과인 ‘등재 권고’*를 문화재청에 전달했다. *등재권고사항 : ①등재 권고, ②등재 보류, ③등재 반려, ④등재 불가

가야고분군은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한 대성동 고분군(김해), 말이산 고분군(함안), 옥전 고분군(합천), 송학동 고분군(고성),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창녕),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남원) 등 7개 가야고분군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가야는 한반도 남부 일대에 500여 년간 실재했던 고대정치체로서 기록이 많지 않기 때문에, 가야고분군은 가야사 연구·복원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코모스는 가야고분군이 기본적으로 완전성과 진정성을 갖추고 있으며, 세계유산 등재기준 (ⅲ)*을 충족하는 것으로 인정했다. 또한 가야고분군의 지리적 분포, 입지, 구분의 구조와 규모, 부장품 등을 통해 ‘가야고분군’이 주변국과 공존하면서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독특한 체계를 유지해 온 ‘가야’를 잘 보여주면서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평가했다.  *세계유산 등재기준ⅲ은, 살아있거나 또는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 혹은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난 증거가 돼야 한다.

특히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후기 가야사회를 주도했던 대가야지배층의 무덤군이며, 7개 가야고분군 중 가장 넓은 유산구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가야고분양식의 가장 발전된 모습을 보이며, 한 무덤에서 순장자 40여명이 확인되는 등 지산동 고분군은 과거 대가야의 위상을 증명하고 있다.

세계유산등재는 2011년 처음 추진을 시작했으며, 2013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이래로 2019년 1월 최종적으로 7개 가야고분군이 연속유산으로서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됐다. 이후 2020년 9월 최종 등재신청대상에 선정돼 2021년 1월 등재신청서를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했으며, 같은 해 3월 등재신청서의 완성성도검토 통과로 본격적인 심사가 시작됐다. 2021년 9월부터 2022년 2월까지 현장실사를 비롯한 추가자료 제출, 패널회의 등 오랜 심사과정을 수행했다.

당초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등재는 지난 2022년 6월 개최 예정이었던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여부가 결정 될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상황으로 인해 당시 의장국이었던 러시아측에서 잠정연기를 통보하면서 등재분위기가 위축된 바 있다. 

이후 러시아가 의장국을 사퇴하면서 후임 의장국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어받았으며, 최종적으로 오는 9월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9.10.~9.25.)를 통해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등재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가야고분군은 7개 고분군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으로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관계기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했다”며“오는 9월 개최되는 세계유산위원회 등재 결정시까지 문화재청 및 관계 지방자치단체 등과 긴밀히 협력해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포함한 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으로 반드시 등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남철 군수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한 가야고분군에 대한 이번 등재권고는 우리의 유구한 역사의 한 축인 고대국가 ‘가야’가 세계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라 했다”며 “또한 세계유산등재는 끝이 아닌 시작이라며, 세계유산 지산동 고분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고령군의 세계화를 위한 초석으로 삼겠다”고 전했다. 

한편 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다면 「한국의서원(19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16번째, 경북도에서는 6번째로 등재되는 세계유산이 된다.
김명수·황보문옥 기자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