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포항시와 경북도는 지난 4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포스코실리콘솔루션과 3,0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포항시 제공> |
|
정부가 지난 20일 ‘이차전지 국가전략회의’에서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전략을 발표한 것과 관련, 포항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의 필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국내 배터리 기업과 함께 최첨단 이차전지 기술개발에 2030년까지 2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전략을 발표했다. 국내 마더팩토리에서 전고체 전지, 원통형 4680전지, 코발트프리 전지 등 차세대 배터리 생산을 시작한 뒤 해외에서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5년간 양극재 국내 생산능력을 4배, 장비 수출액을 3배 이상 확대하는 등 ‘소부장’(소재·부품·장비)경쟁력도 강화한다. 이외에도 광물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해진 상황에서 폐배터리에서 광물을 추출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배터리 산업 생태계도 육성한다.
정부의 이와 같은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전략 발표로 포항에 대규모 투자 중인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 등의 이차전지소재 기업들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술패권 확보를 위해 원료 및 소재생산 전략적 요충지인 포항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지역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이차전지산업 육성을 시작한 도시이다. 2014년 이강덕 시장 취임 이후 100년 미래를 이끌어 나갈 먹거리 산업 육성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
이런 노력의 결과 이차전지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예상하고 2019년 7월 사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타지자체 보다 발 빠르게 움직인 결과 지금은 K-배터리를 선도하는 도시이자 이차전지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1970년 포항제철소가 포항에 들어서면서 포항의 주력산업은 철강산업이었으며 철강산업의 호황에 힘입어 포항은 작은 어촌 마을에서 산업도시로 도약하며 영일만 기적을 이룬 도시로 성장했다.
그러나 2010년도부터 시작된 국내 철강산업의 글로벌 공급과잉과 국내외 수요산업의 성장 둔화, 4차 산업혁명 확산 등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 등으로 국내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철강 일변도였던 포항도 어려움에 직면하며 신성장산업 육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였다.
현재, 포항시가 사활을 걸고 있는 이차전지산업 육성은 이러한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2의 영일만 기적을 이뤄낼 수 있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2년 포항 철강산업의 매출액은 17조 원, 이차전지산업의 매출액은 5조 원으로 이차전지 산업의 빠른 성장성을 감안할 때 머지않아 지역 내 이차전지 산업의 매출액이 철강산업의 매출액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강덕 시장은 “포항의 이차전지 산업 육성은 앞으로 포항의 미래 100년을 이끌어 나갈 먹거리 산업으로의 그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차동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