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내 한·미 공동연구를 통해 기대 생존기간이 1년에 불과한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Glioblastoma)’ 등 난치암 재발 환자를 위한 새로운 표적 치료법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남도현 교수팀은 미국 콜롬비아대학 라울 라바단 교수팀과 함께 뇌종양 유전체의 시공간적 구조 분석을 통한 최적의 표적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이 연구는 복지부의 선도형 특성화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학술지중 하나인 ‘네이쳐(Nature)’의 유전체 분석 관련 분야 자매지 ‘ 네이처 제네틱스(Genetics)’에 게재될 예정이다.남 교수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뇌종양중 가장 악성으로 분류되는 ‘교모세포종’을 비롯해 암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이다.연구진은 국내 52명의 교모세포종 환자로부터 확보한 다부위 및 원발암-재발암 짝 유전체 127건에 대해 구조 및 약물반응성을 분석한 결과 시간과 공간에 따라 유전체가 비슷하기도 하고 차이점이 두드러지기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원발암과 가까운 곳에 있을수록 유전체의 변이 양상이 비슷하지만 멀리 떨어질수록 변이 양상에 차이가 커진다는 것이다.양국 연구진은 이 같은 유전체 변이 양상을 체계화하고 의료영상 및 유전체 등 다차원의 데이터를 융합한 시공간적 진화모델로 구축했다.이를 활용해 첨단 수학적 모델링 기법을 적용한 맞춤치료 전략을 세우고 실제 환자에 적용해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성공했다.나아가 뇌종양 유전체 연구를 통해 ‘PIK3C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종양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규명해 이를 표적으로 하는 PI3K 억제 약물의 임상 적용 가능성도 환자의 세포에서 확인했다.남 교수팀은 “이번 연구는 기존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뇌종양 재발암 환자의 치료 표적 발굴과 정밀의료에 활용될 수 있다”며 “뇌종양 재발암 환자의 맞춤치료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향후 4~5년 이내에 임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