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의료/복지

후진국형 감염병 감시‘고삐 죈다’

뉴시스 기자 입력 2017.03.02 15:34 수정 2017.03.02 15:34

A형 간염, 약수터 등 급수시설 전수조사 추진A형 간염, 약수터 등 급수시설 전수조사 추진

보건당국이 그동안 느슨했던 후진국형 감염병에 대한 감시의 고삐를 쥔다.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신종 감염병에 대한 경계 태세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지난해 결핵, 콜레라, A형간염 등 그동안 후진국 감염병으로 치부해왔던 질병에 국가 보건정책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보건당국은 올해 이들 질병에 대한 감시·예보 수위를 높이고 감염병별로 최근 환자 증가세의 원인을 추적하는 등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질병관리본부는 28일 충북 오송에서 열린 2017년 상반기 정례브리핑을 통해, 최근 의심환자 신고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감염병에 대해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감염병은 ▲A형 간염 ▲콜레라 등 병원성 비브리오균 감염증 ▲결핵 등이다. 이들 감염병은 개인위생수칙만 잘 지켜도 감염되지 않는다. 균에 오염된 물·음식을 마실 경우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개인위생을 잘 지키는 선진국으로 갈수록 발병률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또 비브리오 패혈증과 일부 합병증을 제외하면 치명률이 낮다. 이 때문에 후진국 감염병으로 치부돼 그동안 국가 감염병 관리에서는 중요성이 낮게 취급됐다.하지만 최근에는 양상이 바뀌었다. 국내 의료기술과 감염병 대응 수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이들 감염병 환자수가 급증하는 추세다. A형 간염의 경우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한 채 환자수만 계속 불어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 웹통계시스템 기준에 따르면 A형 간염 환자수는 지난 2013년 867명에서 지난해 4677명으로 3년새 4배 이상 급증했다. 또 병원성 비브리오균 감염증도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 온도 상승의 영향으로 해양 속에 서식하는 원인균의 생육조건이 초적화되면서 감염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에서 비브리오균 감염증의 일종인 콜레라가 15년만에 창궐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결핵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중 발병률 1위라는 오명을 쓴지 오래다. 사실상 이들 감염병은 그동안 국가 보건정책의 사각지대였다.보건당국은 올해는 그동안 소홀했던 감염병에 대해서도 감시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A형 간염의 경우 약수터 등 급수시설에 대한 수질 검사에 A형 간염 항목을 포함하고 전국 급수시설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최근 경기도 여주의 한 근린공원 급수시설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데 따른 것이다. 그동안 급수시설 수질검사에 A형 간염은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던 것이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은 현재 국토부, 환경부 등과 혐조해 우선 경기 여주지역의 약수터 등을 상대로 A형 간염 바이러스 검사를 추진하고 향후 지방검역소 등으로 검사기관을 확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또 콜레라와 같은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감염증 예보제를 실시해 대응할 방침이다. 해양환경인자에 대한 측정치를 분석하고 지역별·병원체별 위험지수와 위험단계를 알려 지자체 등에서 대응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결핵에 대해서도 예방약 복용 등 관리를 받지 못하면 향후 결핵 환자로 발전할 수 있는 ‘잠복결핵감염’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다.병무청에서 올해 1월 병역판정 검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진이 추진 중이며, 내달부터는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등 종사자, 학교밖 청소년 등에 대해 검사를 실시해 추가 감염 가능성 차단에 나서기로 했다.이어 교정시설 입소자(5월), 40세 생애주기 건강검진대상자(7월), 고등학교 1학년생 등 대상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뉴시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