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전세계를 공포로 몰고 가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2020년까지 국내 기술로 20개의 백신을 개발해 현재 46%에 불과한 백신 자급률을 71%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19일 글로벌 제약 분석 기관 이벨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글로벌 백신시장은 연평균 5%씩 성장해 2022년 390억3700만달러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 백신 시장도 2014년 기준으로 약 7000억원 규모로 연 8% 이상씩 빠르게 성장 중이다. 그러나 백신 자급률은 46%에 머물러 있고, 국내 백신 수출액도 2015년 기준, 약 2327억원에 그치고 있다. 이 같은 낮은 백신 자급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백신을 직접 개발할 계획이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오는 2019년까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완공하고, 2025년까지 최우선 백신 4종을 직접 개발할 방침이다. 2025년까지 최우선 개발하는 백신 4종은 3세대 두창, 탄저, 차세대 결핵, 대유행 감염병 등이다. 또 오는 2030년까지는 A형간염 등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된 차순위 백신 12종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감염병 대응이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서는 다소 늦은 감이 있다. 또 한국의 감염병 대응이 감염병 감시 차원보다는 치료제 연구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칫하다간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세계보건기구는 백신에 반응하지 않는 ‘항생제 내성’과 동물과 동물 인플루엔자가 인체에도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자 인간과 동물 환경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바라보는 ‘원 헬스’ 관점으로 주요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따르면 현재 인간 감염병의 60%는 동물매개이며 에볼라, HIV,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병의 최소 75%는 동물 유래 감염병이고, 잠재적 생물테러물질의 80%가 동물매개 병원체이다. 미국은 이미 1990년대부터 감염병에 대한 국가적 대응의 필요성을 인지했다. 1996년 미국 클린턴 대통령은 신종 감염병의 감시와 예방, 대응을 위한 국가 정책 수립을 직접 지시하기도 했다. 감염병을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로 보고 2000년대부터 ‘감염병’ 대응 전략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미 질병통제관리센터(CDC)는 국제보건센터를 신설해 해외 감염병 감시에 주력하고 있다. 유럽연합도 유럽 대륙 내 감염병 감시대응을 위해 2005년 유럽연합 질병통제 관리센터(ECDC)를 설립했고 회원국 간 감시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도 운영중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다은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감염병 대유행 이후 신속히 보급할 수 있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만 집중한 반면 감시나 방역과 같이 감염병의 조기 감지와 신속 대응을 위한 시스템 정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며 “감염병이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된 경우를 대비해 백신과 치료제를 비축해 두는 것은 중요하지만 감염병의 유입과 전국적 확산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과 방역체계를 강화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나라는 인체감염병 연구에만 치중하고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라며 “하지만 최근 인수공통감염병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