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공단지는 2018년 현재 우리나라 전체 산업단지의 39.4%에 해당하는 규모다. 전체 산업단지 중에서 농공단지는 지정 면적의 5.4%다. 입주 기업체수의 7.4%다. 생산액의 5.0%, 고용 인원의 6.9%를 차지한다. 우리나라 농공단지는 1960~70년대 급격한 산업화·도시화로 도농(農都)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농어촌 일자리 창출과 농외 소득원 개발을 목적으로 1984년부터 조성됐다. 그러나 농공단지 정책을 시행한 지 30여 년이 지난 지금, 전국의 수많은 농공단지는 지역 경제 활성화나 일자리 창출은커녕 밤만 되면, 일부 농공단지는 우범지대가 되는 애물단지로 추락했다.
하지만 농공단지는 1984년부터 농어촌지역 농어민의 소득증대를 위한 산업을 유치·육성하기 위해 지정된 산업단지이다. 이러한 농공단지는 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집중적으로 조성됐다. 때문에 최소 20년 이상 된 노후 농공단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산업단지 재생정책에서 농공단지는 제외됐다. 농공단지가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주요 업무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했다.
농공단지의 특징은 소규모 노후산업단지다. 따라서 농공단지를 대상으로 한, 재생사업 등의 활성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산업단지 재생정책은 여전히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를 중심으로만 추진된다. 농공단지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적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농공단지에 대한 업무소관이 불명확한 문제에서 기인한다. 농공단지의 논의 구조가 1990년대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농공단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로 반증된다.
그러나 농공단지는 여전히 활발한 기업 활동을 수행한다. 농공단지는 지역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 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방의 산업기반을 고려하면, 농공단지가 개별 지역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높다. 지역경제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농공단지의 입주기업이 대부분 중소기업임을 고려할 때, 지역에서 고용을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한다.
이런 후진 농공단지에 대해, 경북도가 발전을 모색했다. 지난 22일 예천군 한맥 CC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침체 등으로 경영난을 겪는 농공단지 입주 기업체를 응원하기 위한 뜻 깊은 행사가 개최됐다. (사)한국농공단지연합회 경북협의회(이하 경북농공단지협의회)가 주관했다. 이번 행사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학동 예천군수, 도기욱 경북도의회 부의장, 주요 내빈들과 농공단지 입주 기업대표 및 시·군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농공단지 유공자 표창 수여, 업무협약 체결, 입주 기업체 대표들과의 소통 간담회 순으로 진행됐다.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을 겪는 농공단지 입주 기업체를 위해, 경북도와 농협중앙회 경북본부는 경북농공단지협의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우대금리 혜택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안으로 농공단지 입주기업체를 적극 돕기로 약속했다. 이어진 입주기업체 대표들과 소통 간담회에서는 경북도와 시·군 농공단지 관계 공무원들이 참석해, 현장 목소리를 직접 청취했다. 상호간 다양한 의견을 나눠, 실효성 있는 방안들도 모색했다. 경북도는 올해 농공단지 도로, 오폐수처리시설 등 노후시설물 정비에 36억 원(국비 11억, 지방비 25억)을 투입한다. 양질의 산업입지 공급으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 경북농공단지협의회의 기술·경영컨설팅, 홍보, 판로지원 등을 위해서도 도비 5,100만 원을 지원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농공단지는 경북 경제를 지탱하는 뿌리다. 농공단지 입주기업들의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공단지의 당면한 과제는 현대화다. 이 같은 과제 수행은, 4차 산업혁명에 기반을 둔, 발전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