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고

4·19혁명 60주년, 찬란한 민주주의를 향한 희생을 기리며

안진우 기자 입력 2020.04.20 18:45 수정 2020.04.20 18:45

송 정 아
경북북부보훈지청 보상과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얼어붙었다.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 간 이동 등 하늘길이 막혔고 국가적 행사에서부터 개인적 만남까지 자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완연한 봄기운에 꽃잎들은 보란 듯이 앞다투어 꽃망울을 터트리고 있다. 코로나19로 봄을 빼앗겨 버린 것 같아 못내 서운하다.
올해는 4·19혁명이 일어난 지 60주년을 맞는 해이다. 그 당시 국민들에게 4월의 봄은 어떠했을까?
1950년 4월 민주주의를 향한 희생이 뿌려진 이 땅에는, 60년이 지난 지금 민주주의의 열매가 찬란하다.
1950년 독재정권 유지를 위한 대규모 부정선거가 자행됨에 따라 독재체제에 항거하는 시민과 학생들의 잇단 시위가 들끓었다. 1950년 3월 15일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서 행방불명된 마산상고생 김주열이 눈에 최루탄이 박혀 시체로 바다에서 발견되고 고려대생들이 시위 후 귀갓길에 정치깡패들에게 폭행을 당한 사건이 기폭제가 되어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됐다.
4월 19일은 학생 및 시민들을 향한 경찰 등의 무차별적인 총격이 이루어진 아픈 역사의 날이었다.
하지만 이후 연일 계속되는 시위로 이승만 대통령은 결국 하야를 결정했다. 3·1만세운동이 일제에 항거해 국권을 되찾기 위한 운동이라면 4·19혁명은 학생이 주체가 된 민주시민운동이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을 보면 그 지도이념으로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자유민주주의는 4·19 혁명에 초석을 두고 그 정신을 유구하게 이어받아야 한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4·19 혁명은 이후 부마 민주항쟁, 5·18 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에 큰 영향을 미쳤고 현재 우리나라 자유민주주의를 이룩하게 만든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기에 민주주의의 큰 획을 긋는 역사적 날이기도 하다.
국립 4·19 민주묘지 ‘4월 학생 혁명 기념탑’ 뒤에는 445기의 묘가 있다. 국립 4·19 민주묘지 자료에 따르면 4·19혁명 당시 사망한 사람이 186명에 이르고 부상자는 수천 명에 이른다. 그 이후 사망자가 늘어남에 따라 현재까지 445기의 묘가 생긴 것이라 한다.
그들이 목숨을 걸면서까지 찾고자 했던 민주주의. 코로나19로 봄을 즐기는 일상의 행복을 빼앗긴 요즘 60년 전 희생자들이 갔던 길을 깊이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가 당연시 여기던 자유와 민주가 얼마나 많은 이들의 희생 위에 세워진 일상의 행복이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러할 때 4·19혁명 60주년의 진정한 의미가 있을 것이고, 대한민국 헌법 정신으로써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